📖
Javascript
  • 자바스크립트 시작하기
  • 자바스크립트 기초 문법
  • 변수
  • 배열
  • 객체
  • 연산자
  • 조건문
    • if 문
    • if ~ else 문
    • 다중 if문
    • 중첩 if문
    • switch 문
    • 삼항 연산자
  • 반복문
    • while 문
    • do while 문
    • for 문
    • 중첩 for 문
    • break 문
    • continue 문
  • 함수
    • 선언적 함수
    • 익명 함수
    • 매개변수가 있는 함수
    • Arguments 함수
    • 리턴값이 있는 함수
    • 재귀 함수
    • 콜백 함수
    • 내부 함수(스코프)
    • 객체 생성자 함수
    • 프로토타입 함수
    • 화살표 함수
    • 클래스
    • Promise
    • 함수 정리
    • 템플릿 리터럴
  • 내장객체
    • String 객체
      • split()
      • join()
    • Number 객체
    • Date 객체
    • Array 객체
    • Math 객체
    • 정규표현 객체
  • 브라우저 객체
    • Window 객체
    • Navigator 객체
    • Screen 객체
    • History 객체
    • Location 객체
  • 문서객체
  • 이벤트
Powered by GitBook
On this page
  • 객체
  • 객체의 종류
  • 내장 객체
  • 브라우저 객체
  • 문서객체
  • 내장 객체 - 배열
  • 변수 num1, num2 만들고 100, 200저장한 다음, 출력
  • 배열을 선언하고, 첫번째 저장소에 100, 200입력하고 출력
  • 배열을 선언과 동시에 데이터(100,200)를 넣고 출력
  • 배열을 선언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
  • 객체
  • 객체를 선언하고, 첫번째 저장소에 300, 400입력하고 출력
  • 객체를 선언과 동시에 데이터(300, 400)를 넣고 출력
  • 객체에 속성값 넣어서 표현
  • this 사용

Was this helpful?

객체

자바스크립트는 객체(object) 기반 언어입니다. 객체는 기능과 속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령 TV에는 켜다, 끄다, 음을 소거하다, 볼륨을 높이다, 볼륨을 낮추다 등의 기능이 있습니다. 이렇듯 TV라는 객체는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이러한 주변의 모든 사물들을 객체라고 합니다. (메서드, 속성)

객체

객체. 메서드(); 객체. 속성; 또는 객체. 속성 = 값;

  1. 객체의 메서드를 실행합니다.

  2. 객체의 속성값을 가져옵니다.

  3. 객체의 속성값을 바꿉니다.

객체의 종류

자바스크립트의 객체는 크게 내장 객체, 브라우저 객체(BOM: Browser Object Model), 문서 객체 모델(DOM: Document Object Model)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내장 객체

내장 객체는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내장되어 있어 필요한 경우에 생성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내장 객체로는 문자(String), 날짜(Date) , 배열(Array), 수학(Math) 객체 등이 있습니다.

브라우저 객체

브라우저 객체 모델(BOM)은 브라우저에 계층 구조로 내장되어 있는 객체를 말합니다. 브라우저 객체로는 window, screen, location, history, navigation 객체 등이 있습니다.

문서객체

문서 객체 모델(DOM)은 HTML 문서 구조를 말합니다. HTML 문서의 기본 구조는 최상위 객체로 <HTML>이 있으며 그 사이 객체로는 <head>와<body>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 이미지의 src 속성을 바꾸고 싶다면 지정된 <img>를 선택해 src 속성을 바꿔야 합니다. 이때 지정 요소를 제대로 선택해서 가져오려면 문서 객체의 구조를 잘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이렇게 문서 객체 모델에서는 HTML의 모든 요소들을 문서 객체로 선택하여 자유롭게 속성을 바꿀 수 있고, 선택한 문서 객체에 원하는 스타일 (CSS)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내장 객체 - 배열

변수 num1, num2 만들고 100, 200저장한 다음, 출력

let num1 = 100, num2 = 200;
document.write(num1, "<br>");
document.write(num2, "<br><br>");
//100
//200

배열을 선언하고, 첫번째 저장소에 100, 200입력하고 출력

let arr1 = new Array();
arr1[0] = 100;
arr1[1] = 200;

document.write(arr1[0], "<br>");
document.write(arr1[1], "<br><br>");
//100
//200

배열을 선언과 동시에 데이터(100,200)를 넣고 출력

let arr2 = new Array(100,200);

document.write(arr2[0], "<br>");
document.write(arr2[1], "<br><br>");
//100
//200

배열을 선언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를 입력하고 출력

let arr3 = [100,200];
        
document.write(arr2[0], "<br>");
document.write(arr2[1], "<br><br>");
//100
//200

객체

객체를 선언하고, 첫번째 저장소에 300, 400입력하고 출력

let obj1 = new Object();
obj1[0] = 300;
obj1[1] = 400;

document.write(obj1[0], "<br>");
document.write(obj1[1]);
//300
//400

객체를 선언과 동시에 데이터(300, 400)를 넣고 출력

let obj2 = new Object(300,400);

document.write(obj2[0], "<br>");
document.write(obj2[1], "<br><br>");
//undefined
//undefined

객체에 속성값 넣어서 표현

let obj3 = {a:300, b:400};

document.write(obj3.a, "<br>");
document.write(obj3.b, "<br><br>");
//300
//400
let obj4 = new Object();
obj4.a = [100,200];
obj4.b = "javascript";

document.write(obj4.a[0], "<br>");
document.write(obj4.a[1], "<br>");
document.write(obj4.a, "<br>");
document.write(obj4.b, "<br><br>");

//100
//200
//100,200
//javascript
let obj5 = {
    a:100, 
    b:"100", 
    c:[100,200], 
    d: function(){
        document.write("객체가 실행되었습니다.");
    }
}

document.write(obj5.a, "<br>");
document.write(obj5.b, "<br>");
document.write(obj5.c, "<br>");
document.write(obj5.c[0], "<br>");
document.write(obj5.c[1], "<br>");
obj5.d();//함수 출력방법

//100
//100   -->(문자열)
//100,200
//100
//200
//객체가 실행되었습니다.

this 사용

let obj4 = {
    a : [100,200,300],
    b : "자바스크립트",
    c : function(){
        document.write("실행되었습니다.");
    },
    d : function(){
        document.write( this.b + "가 실행되었습니다.");
    }
}
document.write(obj4.a[0]);
document.write(obj4.a[1]);
document.write(obj4.a[2]);
document.write(obj4.b);
obj4.c();
obj4.d();

//100200300 자바스크립트실행되었습니다. 자바스크립트가 실행되었습니다.
Previous배열Next연산자

Last updated 4 years ago

Was this helpful?